2025 예비군 훈련, 달라진 점과 참가 방법 총정리!

2025. 4. 18. 08:50생활 정보 & 꿀팁

반응형

안녕하세요. 병역의 의무를 다한 모든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예비군 훈련 정보!
2025년부터 일부 제도가 변경되면서, 참가 방식, 훈련비, 용어 등이 바뀌었는데요.
오늘은 예비군 훈련 참가 방법부터 달라진 제도, 신청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예비군 훈련이란?

예비군 훈련은 전역한 군인이 일정 기간 동안 군사훈련을 받는 제도로,
전시 및 국가 비상사태에 대비한 기본 군사력 유지 목적이 있습니다.

  • 대상: 전역 후 8년 이내 (간부는 계급별 예비역 정년까지)
  • 훈련 시기: 매년 3월~11월 사이 부여
  • 훈련 횟수: 동원훈련 또는 지역예비군훈련 1회

🔄 2025년부터 달라진 점

2025년부터 예비군 훈련과 관련된 용어, 훈련 형태, 보상 제도에 일부 변화가 생겼습니다.

항목기존 명칭변경 명칭
동원훈련 동원훈련 동원훈련 I형
동미참훈련 동미참훈련 동원훈련 II형
비상근예비군 비상근예비군 상비예비군

추가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원훈련 II형 참가자에게 1일 1만원 훈련비 지급
  • 작계훈련 참가자에게 교통비 3천원 지급
  • 지연 입소 허용 시간이 09:30 → 10:00으로 변경
  • 주요 대회 참가 시 연기 신청은 최대 6회까지만 가능

📌 정리하자면, 참가자는 금전적 보상이 생기고, 용어가 더 명확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 훈련 일정 확인 및 신청 방법

예비군 훈련 일정 확인 및 자율선택은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예비군 앱

  • 국방부 공식 앱
  • 자율훈련 신청, 연기 신청, 훈련장 조회 가능

2. 예비군 홈페이지

미참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신청 여부 확인하세요!


📅 훈련 종류별 시간

훈련 종류대상소요 시간
동원훈련 I형 동원 지정자 2박 3일
동원훈련 II형 일반 예비군 4일간
지역 기본훈련 5~6년차 예비군 8시간
지역 작계훈련 5~6년차 예비군 12시간

🙋‍♂️ 훈련 연기 가능한 사유는?

  • 질병 (진단서 제출)
  • 출국
  • 가족경조사
  • 입시 / 자격시험
  • 주요 대회 참가 등

단, 연기 가능 횟수 제한이 있으니 꼭 사유와 서류를 잘 챙기세요!

반응형